송은섭 (주)한국문화창의기술 대표이사
송은섭 (주)한국문화창의기술 대표이사

2022년 전후로 관계 당국과 기관, 전문가들은 중국경제 전망에 관한 많은 자료를 발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경제 성장률, 리스크, 실물경제, 부양 효과, 성장 모멘텀 등 많은 키워드를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를 넘어서 중국의 실물경제와 일상을 통해서도 생활과 좀 더 밀접한 경제 현황들을 발견할 수 있고,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사업 기회를 얻기도 한다. 일상생활에 내포된 흥미로운 중국경제의 각종 데이터와 그 안에서 발견한 키워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크게 ‘적용 심도’, ‘인구 분포’, ‘지역 구조’, ‘경제적 규모’ 4가지 차원에서 흥미로운 경제 현상을 찾아볼 수 있다.

▶ '적용 심도' 차원에서 살펴본 중국경제

‘적용 심도’의 차원에서 발견한 현상들은 이러하다. 첫째, 2019년 중국 민간항공국(Civil Aviation Administration of China)은 연간 6억 1,000만 명의 승객을 수송했다. 1인 왕복이 대부분이며, 개인적으로 1년에 120번 항공기를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거대한 중국 인구로 따져본다면 항공기를 단 한 번도 탑승한 적이 없는 사람이 10억 명에 달한다. 2017년 해외 관광객 수는 1억 3,000만 명이었고 여권 소지자도 1억 3,000만 명이었다. 따라서 중국에는 아직 해외여행을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사람이 13억 명에 달하며, 앞으로 해외여행 시장은 여전히 매우 커질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둘째, 중국 국가 기업 시스템에 등록된 인원수는 공무원, 공무, 산업 및 상업 연맹, 여성 연맹 및 기타 노동자를 포함해 4,500만 명에 이르지만, 중국 전체 인구의 3%에 불과한 숫자다. 최근 중국 공산당과 중국 정부가 출시한 국력 강화를 위한 학습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을 보면 아직 플랫폼 이용 수준을 짐작할 수 있다. 아직은 이용률이 낮지만, 중국의 거대한 인구를 따져볼 때 향후 다양한 플랫폼 구축과 개발에 관한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중국에서 성형수술을 받은 사람은 800만 명 이상이다. 통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서 성형 또는 미세 성형 시술을 받은 사람은 800만 명으로 남녀 비율은 1:13이다. 지역으로 봤을 때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과 같은 수천만 명의 인구를 보유한 곳은 주변 지인 10명 중 한 명은 성형수술을 받은 적이 있다는 결과가 나온다. 성형수술 시장의 잠재력을 예상할 수 있다.

넷째, 실제로 중국에서 학사 이상의 학위를 소지한 사람은 4,600만 명이며 이는 중국 전체 인구의 4.5%에 불과하다. 중국에서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훨씬 나은 직업과 삶의 여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내포한다. 또한 직업교육 분야에 많은 사업의 기회가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다섯째, 중국에는 여전히 빈곤선 이하의 인구가 3,000만 명에 이른다. 중국에서 연간 소득이 2,300위안 미만이면 빈곤층으로 정의되는데, 현재 중국에는 연간 소득이 2,300위안 미만인 사람이 3,000만 명이 넘는다. 아울러 기타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에는 3억 6,000만 명의 노동계급이 있고 그중 9,000만 명 이상이 연 소득 3만 위안 미만이다. 즉, 노동계급의 4분의 1, 특히 3선과 4선 도시, 심지어 5선과 6선 도시의 임금은 3,000위안 미만이다. 이러한 사람들의 기저에 깔린 기본소비가 가져오는 소비력과 소비의 세대 차이는 앞으로도 경제 발전에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여섯째, 중국에는 약 1,500만 명의 4~6세 어린이가 있다. 이 중 절반이 발기형을 가지고 있는데, 그 안에 거대한 시장이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발 건강, 발 보호뿐 아니라 건강 지식, 교육 등을 포함한 헬스 기반의 사업을 추진하기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적용 심도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중국은 아주 작은 문제가 축적돼 매우 큰 이슈로 발전할 수 있다. 평범해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중국경제의 첫 번째 적용 심도, 심층 현상이라 부른다.

▶ '인구통계학적 분포'로 살펴본 중국경제 

‘인구통계학적 분포’를 통해서도 중국경제의 심도를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중국에는 1960년대생 약 2억 2,000만 명, 1970년대생 약 2억 명, 1980년대생 약 2억 명, 1990년대생 약 1억 6,000만 명, 2000년대 이후 출생한 포스트 00세대 약 1억 2,000만 명이 있다. 인구통계학적 구조에서 향후 중국경제에 어떤 변화가 발생할지 예측할 수 있다. 중국 전체 고령화 과정은 향후 20년 동안 진행될 것이며, 10년 내 중국의 주요 노동력 중 1억 명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미래의 부동산, 노동, 연금(노인병 포함)이 각각 주요 시장에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고, 아울러 미래 연금 보험을 납입할 수 있는 사람들이 연금 보험에 가입하는 사람들보다 훨씬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연금보험을 내는 숫자는 1억 명 미만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서 노인 1,000명당 24.4개의 노인 병상을 공유할 수 있는데, 향후 노인요양원 공급에 적지 않은 문제가 보인다. 현재 노인 질병 발생 시 노인 병상이나 노인요양시설이 필요한 1,000명의 노인 중 2~3% 미만만 만족시킬 수 있다. 현재 중국에서도 알츠하이머는 현재 매우 흔한 노인성 질환 중 하나로 1,000만 명 이상의 알츠하이머 환자가 있다. 노인 질병과 관련해 환자 보호, 유지 관리, 약물, 일상생활에서 생산되는 관련 제품들까지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둘째, 중국의 전체 GDP가 높아질수록 개인이 받는 스트레스와 압박이 크고, 스트레스가 클수록 우울증의 위험 역시 커져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경증 우울증 환자 수는 9,000만 명에 가깝다. 일부는 치유 없이 회복될 수 있지만, 약물치료가 필요한 심한 경우도 많다. 중국의 우울증 진단 발병률은 약 3%, 우울증 환자는 2,600만 명에 달한다. 이중 실제로 약물치료를 받은 사람은 10%에 불과해 전체 우울증 환자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울증으로 인한 사망자는 연간 6만 명에 육박하고 있어 매우 심각한 수치이며, 향후 정신 건강 산업이 급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중국 전체 도시의 실업률은 약 3.8%로 중국이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실업자가 매년 3,000만 명을 넘는다. 또한 현재 전국 학부 졸업생에게 가장 인기 있는 직업군의 평균 초봉은 5,000위안에 불과하다. 노동자는 기본적으로 월 4,700위안 이상, 에어컨 설치자 8,000위안 이상, 자동차 정비사 10,000위안 이상, 산후도우미 10,000위안 이상, 안마사는 17,000위안 이상을 벌고 있다. 인구의 노동력 분포가 현재 산업 구조를 반영하고 있어 직업교육과 직업 보조금 지원 등을 통해 직업의 구조를 개선하고, 산업의 구조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

넷째, 중국의 미혼남녀는 2억 명에 이른다. 독신 경제와 결혼경제 안에 많은 사업의 기회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경제가 발전하면서 결혼과 출산 연령이 높아지고, 결혼 문화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면서 결혼정보업, 의료 산업 및 성인용품 산업, 오락 및 기타 산업의 점진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다섯째, 중국에서는 매년 10만 건의 자궁경부암이 환자가 발생한다. 이는 전 세계 발병률의 20%를 차지하며, 매년 약 3만 명이 이 질병으로 사망한다. 지난해 중국에서 2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HPV 예방접종을 받았다. 홍콩의 경우 HPV 주사제의 공급이 부족해 매일 병원 앞에 대기열이 있을 정도이며 가격도 높다. 9-valent HPV 백신 가격은 2,000위안 이상이다.

중국인들이 HPV 주사를 맞기 위해 홍콩을 방문할 경우 여행, 쇼핑, 오락 등으로 20,000~30,000위안의 소비를 한다고 한다. HPV 백신은 3번 접종해야 하는데, 이는 거대한 소비 시장과 연결된다. 현재 HPV는 중국 현지화를 진행하고 있고, 관련 종목도 인기가 많아 시장의 기대가 크다.

향후 백신과 예방접종 분야가 더욱 발전한다면 중국 시장에서 바이오산업이 훨씬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알츠하이머, 특정 성병, 특정 부인과 질환의 면역 및 예방과 같은 질병의 백신이나 예방접종이 허용됐을 때 매우 큰 시장이 될 것이다.

이처럼 우리가 중국에서 사업 기회를 판달할 수 있는 요인으로 시장 수요 변화의 기본 논리인 인구 구조의 근본적인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중국 상하이 전경(사진 = UNPLASH)
중국 상하이 전경(사진 = UNPLASH)

▶ '지역구조' 차원에서 살펴본 중국경제

이번에는 ‘지역구조’의 관점에서 중국 전체 지역의 심도를 살펴보자. 첫째, 중국 남방 사람들이 북방 사람들보다 소비에 더 민감하다는 매우 흥미로운 데이터가 있다. 광저우시의 인구는 1,500만 명에 불과하나 광저우의 편의점 수는 40,000개 이상, 상하이 인구는 2,500만 명이나 27,000개의 편의점이 있고, 청두의 인구는 1,600만 명으로 26,000개의 편의점이 있다. 그러나 베이징 인구는 2,500만 명이나 편의점 수는 24,000개에 불과하다. 남방의 소비 형태가 북방보다 많이 발전돼 있고, 소비의 폭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3·4선 도시의 소비구조가 고도화되고 있다. 올해 춘절 기간 수입 과일의 주요 소비는 기본적으로 3선과 4선 도시에 집중돼 있다. 전체 온라인 유통 데이터를 봤을 때, 알리페이(AliPay) 월간 신규 사용자의 55% 이상이 3선과 4선 도시 이하에서 발생했고, 3.4선 도시의 소비 잠재력은 중국 소비를 주도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이 활발한 3선 및 4선 도시의 통신 장비 구입은 월간 누적 6억 1,000만 대에 이르렀다.

셋째, 중국 농촌의 관점에서 볼 때 농촌의 44%의 가정이 컴퓨터가 없지만 93%의 가정은 모두 휴대전화를 보유하고 있다. 휴대전화의 보급률에 따라 농촌 전체는 현재 인터넷 보급의 거대한 시작점이 되었다.

넷째, 중국 농촌인구는 1995년 8억 6,000만 명으로 정점에 이르렀으나, 현재는 5억 6,000만명으로 감소했다. 중국에서 종사자가 가장 많은 업종은 농업으로, 관련 농업 분야 종사자를 제외하면 농촌인구가 2~3억 명이고, 이 농민들이 중국 전체 15억 명을 부양할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농업 기술, 농업 지능, 농업 정보화 및 지능화 수준이 매우 높은 미국의 농부는 280만 명에 불과하다. 이는 중국이 현재 직면하고 있는 산업적 기회와 더불어 농업과학기술 전체가 나아가야 할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지역 구조의 차원에서 전체 중국경제의 현황을 보면 하향할수록 기층으로 향하는 경제 범위의 커지고, 지역 구조에서 가져오는 격차가 대량의 사업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경제 규모의 영향'이라는 관점으로 살펴본 중국경제

‘경제 규모의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재미있으면서도 의미심장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난징의 인구는 800만이지만 난징 사람들은 소금에 절인 오리를 매우 좋아하며 일 년에 1억 마리의 오리를 소비한다. 기본적으로 난징 사람 한 명이 1년에 평균 12마리의 오리를 먹는다.

둘째, 쓰촨성 인구는 약 1억 명 미만이며 쓰촨 사람들은 매년 거의 2억 마리의 토끼를 먹는다. 기본적으로 세계 토끼고기 생산량은 200만 톤이며 그 중 중국 생산량은 약 30%이다. 그러나 쓰촨성 소비량만 42만 톤에 달하며, 이는 2억 마리의 토끼를 먹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본적으로 중국산 토끼는 대부분 쓰촨 사람들이 먹는다.

셋째, 중국은 연간 500억 마리의 가재를 먹는다. 중국에는 5,000개 이상의 가재 양식장이 있고, 500만 명 이상의 직원이 있으며, 전체 가재의 해당 수요는 200만 톤 이상으로 매우 많다. 그중 우한은 연간 30억 마리의 가재를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가재 양식과 관련한 사료, 가재 요리에 해당하는 조미료까지 포함하면 거대한 시장이 형성된다.

넷째, 중국에는 현재 40만 개의 훠궈 전문점이 있으며 총 규모는 4,800억 원이다. 훠궈 전문점인 하이디라오는 수익성이 높은 성공적인 모델로, 전체 산업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전국에 40만여 곳의 훠궈 전문점이 있는데 어떤 기회가 있을까? 식기 세척을 위해 스마트 식기 세척기를 만든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40만 개 매장에 몇 명의 실무자가 필요하며, 이러한 실무자는 어떻게 교육할지 생각해보자. 이에 적용할 수 있는 사업 기회를 찾을 수 있다.

다섯째, 중국의 밀크티 매장은 50만 개 이상이라고 보수적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여전히 신규 매장 수는 매년 10만 개씩 증가하고 있다. 해마다 수많은 밀크티 매장이 문을 닫지만, 기본적으로 매년 20%의 성장률로 새로운 매장이 오픈되고 있다. 주요 이용자의 80%가 여성이며, 기본적인 1잔의 소비량과 고객 단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재, 재료 등 음료와 관련된 용품, 카페 인테리어까지 수출 기회가 될 수 있다.

여섯째, 중국은 매년 1억 800만 톤의 식량(2,000만 톤의 곡물과 8,000만 톤의 대두)을 수입한다. 이러한 곡물류 제품에 대한 상부 종자기술과 재배기술을 보면 이 시장이 얼마나 커질 수 있을지 상상할 수 있다.

일곱째, 중국의 경내 택배 배송 건수는 507억 건에 달한다. 기본적으로 한 사람이 한 달에 평균 3번의 택배를 보낸다. 각 배송의 포장을 위해 2㎡의 골판지가 필요한 경우 얼마나 많은 목재와 제작 관련 기술이 필요한지 살펴보자. 기본적으로 중국의 물류 특송 배송량을 지원하는 골판지 펄프의 소비량을 계산하면 이는 백만 그루의 나무 소비량과 같다.

여덟째, 중국은 현재 세계 최대의 원유 수입국이며, 기본적으로 중국의 해외 석유 소비 의존도는 70%까지 높아졌다. 2018년 원유 수입량은 4억 6,000만 톤으로 하루 920만 배럴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는 캐나다와 이라크를 합한 총생산량으로 턱없이 부족하다. 이러한 에너지 구조를 보면 어떤 산업인지 기회인지 알 수 있다.

현재 중국은 난방 및 전원 공급에 바이오 에너지를 적용하는 것에 관한 연구가 한창이다. 중국은 석유를 다른 에너지원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다양한 지원과 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리 기업이 석유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을 제안한다면,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

‘규모의 경제’라고 불리는 중국, 그 속에 숨겨져 있는 키워드를 데이터를 중심으로 엮었다. 소위 말하는 ‘틈새시장’과는 거리가 있을 수 있지만, 중국 시장에 진출할 기회와 아이디어가 되길 바란다. 아울러 이 글에 도움을 준 ‘보아오 문화창의주 VIP그룹(博鳌文创周VIP群)’ 관계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저작권자 © K글로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